-
04
The College of
Social Sciences - Kim Daekeun
- Short profile
-
김대근
신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언론학과 교수
서강대학교 영상매체학 박사- 2010~현재
한국콘텐츠진흥원 기업부설창작연구소 및 창작전담부서 인정제도 인정위원단
- 2003~2005
㈜미리내엔터테인먼트 기획이사
- 2001~2003
㈜미리내엔터테인먼트 기획이사
- 2003~2005
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디지털콘텐츠팀 과장
- 2000~2001
㈜미딕스코리아 영상제작 PD
- 1994~2000
㈜인디컴 영상제작 PD
19살 배우를 꿈꾸며 연극영화과에 입학한 그 순간부터 지금까지 제 소망은 ‘좋은 배우’가 되는 것이었습니다. 물론 그 소망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지만, 저에게는 또 하나의 새로운 소망이 생겼습니다. 그것은 새롭게 시작하는 신한대학교 공연예술학과에서 21세기에 신한류 세대에 걸맞는 ‘좋은 배우, 좋은 엔터테이너’를 육성하고자 하는 것입니다. 한류 드라마, K-POP으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는 이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인들이 열광하는 새로운 문화 트랜드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. 이에 따라 최근의 공연 예술 또한 지금까지의 순수 연극 이외에도, 미디어, 영상, 광고, 드라마와 영화를 원작으로 하는 대형 뮤지컬 등 그 범주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.
신한대학교 공연예술학부의 교육목표 중 하나는 급변하는 공연예술 현장에서 요구되는 트랜디한 감각과 전문성을 갖춘 엔터테이너를 육성하는 것입니다. 단순히 ‘연기를 잘하고, 노래를 잘 부르는’ 학생들을 배출해내는 것을 넘어서 실무 중심의 교육과 현장 밀착형 트레이닝을 통해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선도해낼 인재를 길러내는 장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. - 2010~현재
- Research Paper
-
- 2020
‘천만 영화’의 서사구조 유형 분석
- 2019
유신정권기 영화 〈특별수사본부〉 시리즈에 재현된 간첩담론: 텍스트의 전략적 특징을 중심으로
전후 한국영화에 재현된 자본주의적 공간의 형성: 데이비드 하비의 도시이론을 중심으로
박정희 정권기 코미디영화를 통한 국민 명랑화 전략 : 텍스트의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
방영진의 만화 〈약동이와 영팔이〉에 재현된 1960년대 한국의 사회자본: 연대의 성격과 연결망의 특징을 중심으로 - 2017
일제강점기 국책영화의 헤게모니 전략: 조선영화령 공포 이후의 영화를 중심으로
- 2016
한국 코미디영화 형성기의 담론분석: 텍스트의 사회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
얄개담론에 대한 계보학적 접근: 당대의 감정구조와 외재적 조건을 중심으로
영화 <서부전선>에 재현된 헤테로토피아: 그 생성과 소멸의 구조
1970년대 한국 명랑만화의 담론분석 - 2010
스마트폰 이용자의 매개 경험에 관한 연구
- 2020